반응형

일본 동경 정신의학연구소에서 1982년 개발된 검사다.

한국에서는 김태련과 박량규(1992)CLAC-를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 임상센터에서 발달영역과 병리영역을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다.

  • 이화-자폐아동 행동발달 평가도구(EWHA-Check List for Autistic Children)로 명명한다.

자폐아의 말, 운동, 행위에서 추론한 것으로 CLAC-은 행동치료이론을 기초로 정상아와 비교분류하여 분류항목을 척도화다.

CLAC-는 병리적 양상을 포함하여 아동의 전반적 발달상황 평가표를 제작(CLAC-는 행동치료용)한다.

 

1. 검사의 구성

검사대상은 자폐가 의심되는 시점의 아동에서부터 초등학교 고학년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함

E-CLACCLAC-14개 기본영역에 부응하는 새로운 문항들을 제작

  • 기존 영역외에 집단적응, 지시따르기, 안전관리의 세 영역을 더 추가하여 이 영역에서의 발달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을 포함

CLAC-에서는 자유기술문항이었던 감정표현, 감각습관, 수면, 놀이영역을 체크문항으로 함

새로 제작된 문항들과 CLAC-의 문항 중에서 최종적으로 43개의 척도문항, 13개의 비척도문항등 총 56개의 문항을 선정

 

E-CLAC는 크게 척도문항과 비척도 문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척도문항은 각 단계를 발달단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 5개중 1개만을 선택하도록 함

  • 척도문항 영역 : 식사, 배설, 수면, 착탈의, 위생, 놀이, 집단에의 적응성, 대인관계, 언어, 표현활동, 취급하기, 지시따르기, 행동, 운동성, 안전관리
  • 비척도문항 영역 : 수면습관, 놀이, 운동성, 감정표현, 감각습관

발달단계를 척도상에 확대시켜 가장 낮은 발달수준인 1단계부터 가장 높은 5단계까지로 구성

1~24문항까지 각 척도영역을 원그래프상에 나타내어 psychogram을 만들어 개개인의 행동발달과 기능발달을 관찰, 정상아와 비교할 수 있게 되어 있음

 

2. 검사의 내용

정상아들의 보편적 발달문항과 자폐아들의 병리문항으로 구분하여 명시

수면습관과 운동성은 병리문항, 놀이문항은 정상놀이와 이상놀이로 구분

감정표현 문항은 정상성과 이상성으로 구분

감각습관 문항은 모두 병리성이지만 무반응, 고통, 매혹으로 구분

 

3. 검사 실시 유의사항

아동의 일반적인 행동특성을 개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므로, 그 아동의 일상생활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평가

대상자에 대한 평가는 단기간의 관찰을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고 1개월 정도의 평균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

평가는 번호순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평가가 어려운 문항은 나중에 상담하여 평가

척도문항의 경우 관찰의 편의를 위해 발달용 psychogram과 병리용 psychogram에 평가단계를 각각 옮겨 적음

 

4. 검사결과의 처리 및 해석

발달용 psychogram과 병리용 psychogram에 평가단계를 각각 옮겨 적으면 psychogram이 완성

그림의 면적이나 각 문항에 따른 요철상태로 대상 아동의 발달이나 병리상태를 알 수 있음

  • 면적이 크고 요철이 적은 영역은 발달적으로 신장되어 문제가 보다 적음

각 문항별로 연령별 대표단계를 psychogram 상에 표시한 것과 비교

결과 해석시 psychogram만으로 판단해서는 안되고 영역별 단계를 유의해서 판단해야 함

 

반응형
반응형

아동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 정서, 행동문제를 제3, 즉 부모님이나 교사가 관찰하면서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아동 청소년의 심리장애 진단에 유용한 임상적 도구이다.

원저자는 AchenbachEdelbrock(1983)이고, 한국판은 오경자 등(2001)이 번역하여 표준화한다.

 

1. CBCL의 특성

아동을 잘 아는 부모 및 양육자가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아동의 문제는 간혹 부모가 발견하지 못한 측면이 학교상황에서 발견되기도 하므로, 1991Achenbach는 교사용 행동평가척도와 청소년용 자기보고식 행동평가척도를 개발

  • 대상연령을 18세까지로 확대하고, 새로운 규준을 제시

K-CBCL4세부터 17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함

CBCL은 다수의 임상집단 자료를 요인분석하여 경험적 방법으로 구성된 임상척도를 사용하여 행동평가 자료를 요약하도록 되어있음

광범위한 정상집단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규준을 작성함으로써 실제로 적용하여 아동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침을 마련해주고 있음

CBCL은 정서, 행동문제의 평가와 동시에 사회능력척도를 제작하여 문제행동 중후군 척도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표준화 규준을 마련함으로써 정서, 행동문제 뿐만 아니라 아동의 적응능력의 평가도 병행

경험에 기초한 다축적 평가를 전제로 하고 있음 (부모 뿐 아니라 다양한 상황, 장면에서의 평가자료)

 

2. 검사의 구성

CBCL은 사회능력 척도와 문제행동증후군 척도로 구성

사회능력 척도 사회성 척도, 학업수행 척도, 총사회능력 척도의 3

  • 사회성 척도 : 친구나 또래와 어울리는 정도, 부모와의 관계 등 사회성을 평가(0~8점). 6세부터 적용
  • 학업수행 척도 : 교과목 수행정도, 학업수행상의 문제 여부 등을 평가(0~5점). 초등학교 이상에만 적용
  • 총사회능력 척도 : 사회성 척도와 학업수행 척도의 합(0~13점)

문제증후군 척도는 위축, 신체증상, 불안/우울, 사회적 문제,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비행, 공격성,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등 10가지 & 4~11세에게만 적용되는 성문제 척도, 정서불안정, 총문제행동 척도로 구성

  • 위축 척도 : 사회적 위축, 소극적 태도 평가(9문항)
  • 신체증상 척도 : 의학적 증거가 없는 신체증상 평가(9문항)
  • 우울/불안 척도 : 정서적 우울과 불안 평가(14문항)
  • 사회적 미성숙 척도 : 발달상의 문제와 사회적 미성숙 측정(8문항)
  • 사고의 문제 척도 :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사고 내용 및 행동평가(7문항)
  • 주의집중문제 척도 : 주의집중력 문제 및 행동평가(11문항)
  • 비행 척도 : 비행 행동 평가(13문항)
  • 공격성 척도 : 공격성, 싸움, 반항행동 측정(20문항)
  • 내재화 문제 : 위축 척도 + 신체적 증상 척도 + 우울/불안 척도 - 1
  • 외현화 문제 : 비행 척도 + 공격성 척도
  • 성문제 척도 : 성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특수척도(6문항)
  • 정서불안정 척도 :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행동을 측정하는 특수척도(10문항). 한국판에만 추가한 특수척도
  • 총문제행동 척도 : 문항1에서 112까지의 합 - (문항2 + 문항4)

 

3. 검사실시

CBCL은 대상아동의 부모가 평가하는 것으로 부모가 부재하는 경우 함께 거주하는 사람이 평가

청소년용은 개인이 직접 작성

개인검사 소요시간은 15~20

집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배부하고 난 다음날 회수

- 검사지도 OMR카드로 제작되어 있어 개별적 결과 및 전체 내용을 받을 수 있음

 

3. 채점 및 프로파일 작성

사회능력 척도의 채점은 각 문항의 채점기준에 근거하여 채점하고 영역별로 평균을 구함

문제행동증후군 척도는 하위 척도별로 평정된 점수를 합하여 원점수를 냄

부록에 제시되어 있는 규준표에서 사회능력 및 문제행동증후군의 원점수를 표준점수(백분위, T점수)를 구함

표준점수로 프로파일 작성

 

4. 프로파일 해석

1) 사회능력 척도

사회성 척도와 학업수행 척도는 30T(2%tile)점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점수는 정상범위, 그 이하의 점수는 문제를 갖는 것

총사회능력 점수는 33T(5%tile)점을 기준

 

2) 문제행동증후군 척도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총문제행동 척도는 백분위 점수 90, T점수 63점 이상이면 임상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

70T(98%tile)점 이상이면 임상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

  • 정상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전 선별이 주목적인 경우, 60T점(85%tile)을 기준으로

CBCL의 사용목적에 따라 판단기준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음

 

반응형
반응형

행동평가를 위해 광범위한 자기보고 검사가 개발되어 왔다. 

  • 대개 리커트식 척도로 된 20~100문항으로 구성
  • 대부분은 주장성, 우울, 불안, 두려움, 역기능적 태도, 시각적 상상의 통제, 갈등 해결의 능력 또는 비합리적 사고와 같은 구체적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

검사들 중 많은 것은 심리측정적 속성이 부족하거나 전무한 것도 있다.

또한 규준자료가 거의 없는 것도 있다.

그러나 많은 행동검사와는 대조적으로 우울, 주장성, 두려움에 대한 다음의 검사는 임상과 연구상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심리측정적 속성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1. 검사특성

자기보고 검사의 대표적인 예가 Beck의 우울척도(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 1961Beck 등이 만든 것으로 1971년 개정되었다. 

  • 개정판에서 문항이 한층 명료화되고 수정되었으나 상관관계는 .94로 높음

정신병 환자 집단과 정상인 집단에서 우울과 관련된 인지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음

실시시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화된 면담만큼이나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

문항은 원래 우울증 환장의 전형적 태도와 증후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하였지만, 그 중 대부분은 우울증에 대한 Beck의 인지적 견해를 반영

혼자도 실시할 수 있으며, 전부 답하는데는 5~10

BDI 문항을 적절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5~6학년 정도의 독해력이 필요

 

2. 문항 구성 및 내용

BDI는 카드형태, 컴퓨터화된 형태, 21문항인 표준형, 13문항의 단축형 등 여러 형태로 개발

  • 표준형과 단축형의 상관관계는 .89~.97

대표적 문항은 실패감, 죄책감, 비합리성, 수면장애, 식욕상실에 관한 것

 

<BDI21문항>

1. 슬픔 2. 염세성 3. 실패감
4. 불만족 5. 죄책감 6. 벌의 예기
7. 자기혐오 8. 자기비난 9. 자살에 대한 상념
10. 울었던 일 11. 신경과민(안절부절) 12. 사회적 위축
13. 우유부단 14. 신체 이미지의 변화 15. 작업의 지연
16. 불면증 17. 피로감 18. 식욕 상실
19. 체중 감소 20. 신체적 몰두 21. 힘없음. 에너지수준 낮음

 

3. 신뢰도와 타당도

표준형의 내적 일관성은 .86 (.73~.92)

단축형의 신뢰도는 유사,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48~.86

내용타당도, 일치타당도, 변별타당도의 평가도 양호

BDI 문항은 우울증환자의 증후에 대한 임상가들의 합의와 우울증 환자의 진단을 위한 DSM-9개 범주 중 6개로부터 도출

- 환자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한 결과, 일치타당도는 .55~.96으로 나타남

- 유사한 척도(Hamilton Psychiatric Rating Scale for Depression, Zung Self Reported Depression Scale, MMPI Depression Scale )와도 중간정도의 상관관계

BDI는 내담자의 적응수준을 변별할 뿐 아니라 정신병 환자와 비환자를 구분

BDI는 외로운 사람,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 불안한 사람, 고민이 많은 사람을 판별하는데도 사용

 

4. 검사결과의 해석

전체 21개 증후를 포함, 0~3점 척도로 평가

  • 이론상 가능한 점수는 0~63점
  • 실제로 우울증이 아주 심한 경우라 해도 40~50점 사이의 점수
  • 임상적으로 우울하거나, 적응을 잘하지는 못하지만 비임상적인 모집단의 경우 10~30점

 

<일반적 우울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59 우울증이 전혀 없거나 매우 경미함
1018 가볍거나 보통 정도의 우울증
1929 보통 정도에서 심한 우울증
3063 우울증이 심함
4점 이하

우울증을 부인하거나 좋게 보이려고 꾸밀 가능성 있음. 정상인의 통상적 점수보다 더 낮은 점수
40점 이상



우울증이 아주 심한 사람보다도 훨씬 더 높은 점수. 우울증을 과장할 가능성이 있음. 연극적 또는 경계선적 성격장애를 나타낼 수 있음. 극심한 우울증을 반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반응형
반응형

행동평가의 기법은 매우 다양하여, 아동의 공포와 불안을 평가하는 데만도 100개 이상의 도구가 있음

다양한 행동평가는 그 특성에 따라 행동적 면담, 행동적 관찰, 인지-행동적 평가, 심리생리적 평가, 자기보고 검사의 다섯 범주로 나눌 수 있음

 

1. 행동면담

일반적으로 선행사건-행동-결과(antecedents-behaviors-consequences : ABC)간의 관계를 기술하고 이해하는데 초점

처치하기 전에 나타난 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을 체계적으로 관찰함으로써 기저선을 측정

문제행동이 과도한지 아니면 과소한지를 기술하여, 목표행동을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내담자도 그것이 적합하다고 동의해야 함

행동면담의 일반적 목적

  • 목표행동을 확인하거나 부가적인 행동평가 과정을 선택하는데 도움
  • 내담자의 동의하에 문제의 과거력을 파악하고 문제의 인과적 요인을 확인
  •  문제행동을 기능적으로 분석하고, 내담자의 동기를 증가시키며, 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이전에 시도해 본 중재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제공해 줌

행동면담의 방법

  • 충분한 라포가 형성되어야 하고 구체적 목적이 설정되어야 하고, 문제와 관련된 내담자의 과거력을 파악
  • 행동분석을 위해 가능한 한 문제행동을 완전히 기술해야 하므로, 한도를 정하여 그것이 어디서, 언제 일어나며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야 함
  • 면담을 마칠 때는 내담자에게서 알아낸 사실들을 요약하고 설명해 주며, 치료의 성공 가능성을 평가해 주어야 함

행동면담을 구조화, 표준화하기 위해 네 단계의 문제해결 과정으로 나눔

  • 문제확인 단계 : 문제를 기술하고 탐색. 현재 행동을 측정하고 바람직한 표적행동을 설정. 내담자들이 흔히 나타내는 애매하고 일반적 기술을 구체적으로 바꾸어 주어야 함
  • 문제분석 단계 : 자료를 평가하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과 행동이 과도하게 일어나거나 너무 적게 일어나는 맥락을 기록
  • 처치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 처치의 진행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
  • 처치를 평가하는 단계 : 중재가 효과적이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처치 전후의 행동을 측정

 

2. 행동관찰

행동면담만으로 적절하지 못한 경우, 처치를 하기 전이나 도중 또는 그 후에 행동관찰이 필요

행동관찰은 발달장애 아동, 저항이 심한 내담자, 어린 아동의 경우 매우 유용한 평가수단이 됨

보통은 임상가, 부모, 교사, 배우자와 같이 내담자와 가까운 사람들 또는 내담자 자신이 관찰

 

행동관찰의 첫 번째 과제는 목표행동을 정하는 것이고, 표적행동은 문제행동과 관련된 것을 모두 포함해야 하고 기록될 행동의 숫자와 기록방법의 복합도를 결정

  • 기록방법과 표적행동은 다루기 쉽고 지나치게 복잡한 것은 피하도록 함

모든 행동은 명확히 관찰할 수 있을 만큼 객관적이고 분명하게 정의되어야 함

  • 추상적이고 추론적 정의는 구체적 행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함

행동 빈도를 측정할 때는 행동이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나는지를 명백히 정의하고, 행동의 지속시간과 강도를 기록

행동을 관찰하는 환경은 자연사태에서 고도로 구조화된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 자연사태의 예는 가정, 학교, 일터, 놀이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관찰은 내담자의 생활과 직접 관련

자연사태법은 발생빈도가 높은 행동이나 전반적 행동(주의력 부족행동, 사회적 위축행동, 우울한 행동)을 평가할 때 가장 효과적

  • 그리고 처치 후에 내담자가 보이는 변화의 양을 측정할 때도 유용
  •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

낯선 사람이 행동을 관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내담자의 가족이나 익숙한 사람을 훈련시켜 내담자를 관찰하기도 함

내담자가 짧은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행동을 나타낼 경우 회상하기 어려움으로 행동을 관찰하는데 필요한 횟수, 관찰에 걸리는 시간, 관찰시점, 기록 유형, 표적행동 등을 고려해야 함

행동관찰에서는 이야기 기록(narrative recording), 간격기록(interval recording), 사상기록(event recording), 평가기록(ratings recording) 등의 방법이 있음

 

3. 인지적 행동평가

인지적 행동평가는 외현적 행동에만 초점을 맞췄던 초기의 행동평가와는 큰 차이가 있음

  • 내담자의 인지과정은 치료효과가 있을 때 변할 뿐 아니라, 문제행동을 지속 또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함

인지를 변화시키기만 해도 행동이 변화된다는 주장이 있으나 인지적 행동평가에 제한점이 있음

  • 내담자들은 인지과정의 결과는 쉽게 회상하고 기술하는데 반해, 그 과정을 기술하는 것을 어려워 함
  • 내담자가 회상한 내용은 개인의 욕구, 편견, 기대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
  • 실제의 인지과정은 내담자가 기술한 결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임상가가 추론
  • 이러한 한계 때문에 전통적 행동주의자들 중 일부는 인지적 평가의 이론적, 실제적 적절성에 의문을 품기도 함

 

인지적 행동평가

우울증에 활용

  • 독특하고 반복적 사고로 인해 유지되는 것으로, 관련된 사고는 확실한 증거가 없는 임의적 추론, 과일반화, 과장/최소화 등을 들 수 있음
  • Beck은 우울증의 인지과정을 평가하기 위해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를 개발
  • 인지적 자기보고 검사도 임상장면에서 자주 사용
  • Attributional Styles Questionnarie : 인과적 귀인방식이 우울증과 관련된다는 가정하에 내담자의 귀인을 평가
  •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rie : 신뢰도가 높고 다른 병적인 상태의 심각도를 변별할 수 있으며, 내담자의 감정상태의 변화에 민감하고, 변별타당도가 높음
  • Cognitive Response Test : 직업, 결혼, 우정을 알아보는 검사

 

사회적 공포증 환자

  • 부정적 정보를 자주 회상하고 타인으로부터의 모호한 피드백을 부정적으로 해석, 남들이 자신의 수행을 평가절하하고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부정적 자기-진술을 갖고 있는 경향
  • 따라서 이 요인 중 각각의 상대적 발생률을 평가함으로써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 치료책을 제시해 줄 수 이음
  • 사회적 공포증의 인지적 평가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도구
  •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 Social Interaction Self-statement Test

 

불안을 위한 검사

  • Irrational Beliefs Test :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100문항이 10개의 범주로 구성
  • Rational Behavior Inventory : 비합리적 신념과 불안간의 관계를 평가

 

섭식장애

  • Cognitive Error Questionnarie : 섭식장애의 독특한 인지왜곡을 평가
  • 자연사태에서 내담자의 자기-진술을 모니터 하는 것 : 구체적 문제에 적합한 인지-행동적 도구를 만들고, 거기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내담자에 대한 처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함

 

인지기록

생각하면서 중얼거리기

내담자에게 현재 생각하고 있는 내용은 5~10분간 걸쳐 언어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 이 과정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진 내담자가 평상시와는 다른 생각을 말할 수 있다는 단점

혼잣말하기

  • 아동이 여러 활동을 하면서 무심코 하는 말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인지를 평가하는데, 이러한 사적 언어는 실제의 생각과 매우 유사함

명료하게 표현된 사고

  • 내담자가 나타내는 문제를 유발할 만한 구조화된 상황 또는 모의상황을 조성하여, 그 상황에서 내담자에게 떠오르는생각을 말하도록 하여 전형적인 사고를 적어두고, 그것이 문제행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추론

결과방법

  • 실제의 자연스러운 상황이 발생했을 때 떠오르는 사고를 기록

시인방법

  • 표준화된 문항이나 비형식적 문항을 통해 내담자에게 나타나는 신념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알아보는 방법

사고 기술하기

  • 진행 중인 생각을 계속 기술하는 대신에 내담자로 하여금 인지를 요약. 구체적 자극이나 문제 영역에 따라 또는 어떤 자극을 얘기하게 함으로써 유발되는 생각을 열거토록 함

사고표집

  • 어떤 자극을 통해 내담자의 사고를 알아보는 기법으로 자극을 받기 직전에 떠올랐던 내용을 기술하도록 함

사상기록

  • 문제와 관련된 사고나 행동이 일어날 때까지 기다리는 대신 내담자로 하여금 새롭고 바람직한 행동의 표현과 관련된 사고를 기술하도록 하는 것

 

4. 심리생리적 평가

한 사람을 완전히 이하해기 위해서는 행동, 감정, 인지뿐만 아니라 이 요인들이 생리적 기능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야 하므로 심리생리적 평가를 실시

공포와 불안은 혈압 및 피부전도성에서 나타내는 생리적 반응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

지능지수가 높은 사람은 과제를 할 때 눈동자의 확대변화나 심장박동률의 변화가 더 작음

  • 지능이 높은 사람이 과제를 할 때 노력을 더 적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심리생리적 측정을 통해 지능을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

정신분열증 환자와 불안증 환자는 부교감신경계보다는 교감신경계의 민감도가 더 높음

  • 반사회적 성격자는 부교감신경계의 민감도가 교감신경계의 반응성보다 더 높음

심리생리적 자료를 이해하고 해석하려면, 임상가들은 심리평가 뿐 아니라 해부학, 전자공학, 생리학 등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함

반응형
반응형

1. 행동평가법의 장점

행동평가의 최대 장점은 임상가가 처치효과를 계속 살펴보며, 문제행동의 측정치를 통해 그 변화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 경험적, 기능적 분석을 통해 행동의 기저선을 측정할 수 있고 선행사상과 결과를 평가할 수 있음
  • 기저선을 기준으로 하여 처치 중이나 처치 후에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는지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행동평가는 가설을 검증하거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는지를 알고 싶을 때 특히 유용

행동평가의 기법이 다양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다.

행동평가는 주로 환경요인에 의한 문제에 더 적절하다는 것이다.

  • 공포증, 부부불화문제, 행동화, 분노발작, 교실내의 부적합한 행동 등

 

2. 행동평가법의 단점

심리측정적 속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고, 신뢰도와 타당도도 충분치 않다.

행동관찰과 면접의 정확성은 관찰자 편파, 초두효과, 관찰자 일치도의 저하, 확인편파와 같은 요인 때문에 왜곡될 수 있다.

시간, 인원, 장비 등 많은 것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 행동평가의 기법

행동평가의 기법은 매우 다양하여, 아동의 공포와 불안을 평가하는 데만도 100개 이상의 도구가 있다.

다양한 행동평가는 그 특성에 따라 행동적 면담, 행동적 관찰, 인지-행동적 평가, 심리생리적 평가, 자기보고 검사의 다섯 범주로 나눌 수 있다.

 

1. 행동면담

일반적으로 선행사건-행동-결과(antecedents-behaviors-consequences : ABC)간의 관계를 기술하고 이해하는데 초점

처치하기 전에 나타난 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을 체계적으로 관찰함으로써 기저선을 측정한다.

문제행동이 과도한지 아니면 과소한지를 기술하여, 목표행동을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내담자도 그것이 적합하다고 동의해야 한다.

행동면담의 일반적 목적

  • 목표행동을 확인하거나 부가적인 행동평가 과정을 선택하는데 도움
  • 내담자의 동의하에 문제의 과거력을 파악하고 문제의 인과적 요인을 확인
  • 문제행동을 기능적으로 분석하고, 내담자의 동기를 증가시키며, 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이전에 시도해 본 중재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제공해 줌

 

행동면담의 방법

  • 충분한 라포가 형성되어야 하고 구체적 목적이 설정되어야 하고, 문제와 관련된 내담자의 과거력을 파악
  • 행동분석을 위해 가능한 한 문제행동을 완전히 기술해야 하므로, 한도를 정하여 그것이 어디서, 언제 일어나며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야 함
  • 면담을 마칠 때는 내담자에게서 알아낸 사실들을 요약하고 설명해 주며, 치료의 성공 가능성을 평가해 주어야 함

 

행동면담을 구조화, 표준화하기 위해 네 단계의 문제해결 과정으로 나눔

  • 문제확인 단계 : 문제를 기술하고 탐색. 현재 행동을 측정하고 바람직한 표적행동을 설정. 내담자들이 흔히 나타내는 애매하고 일반적 기술을 구체적으로 바꾸어 주어야 함
  • 문제분석 단계 : 자료를 평가하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과 행동이 과도하게 일어나거나 너무 적게 일어나는 맥락을 기록
  • 처치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 처치의 진행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
  • 처치를 평가하는 단계 : 중재가 효과적이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처치 전후의 행동을 측정

 

2. 행동관찰

행동면담만으로 적절하지 못한 경우, 처치를 하기 전이나 도중 또는 그 후에 행동관찰이 필요하다.

행동관찰은 발달장애 아동, 저항이 심한 내담자, 어린 아동의 경우 매우 유용한 평가수단이 된다.

보통은 임상가, 부모, 교사, 배우자와 같이 내담자와 가까운 사람들 또는 내담자 자신이 관찰한다.

행동관찰의 첫 번째 과제는 목표행동을 정하는 것이고, 표적행동은 문제행동과 관련된 것을 모두 포함해야 하고 기록될 행동의 숫자와 기록방법의 복합도를 결정

  • 기록방법과 표적행동은 다루기 쉽고 지나치게 복잡한 것은 피하도록 함

모든 행동은 명확히 관찰할 수 있을 만큼 객관적이고 분명하게 정의되어야 함

  • 추상적이고 추론적 정의는 구체적 행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함

행동 빈도를 측정할 때는 행동이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나는지를 명백히 정의하고, 행동의 지속시간과 강도를 기록

행동을 관찰하는 환경은 자연사태에서 고도로 구조화된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 자연사태의 예는 가정, 학교, 일터, 놀이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관찰은 내담자의 생활과 직접 관련

자연사태법은 발생빈도가 높은 행동이나 전반적 행동(주의력 부족행동, 사회적 위축행동, 우울한 행동)을 평가할 때 가장 효과적

  • 그리고 처치 후에 내담자가 보이는 변화의 양을 측정할 때도 유용
  •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

낯선 사람이 행동을 관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없애기 위해 내담자의 가족이나 익숙한 사람을 훈련시켜 내담자를 관찰하기도 함

내담자가 짧은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행동을 나타낼 경우 회상하기 어려움으로 행동을 관찰하는데 필요한 횟수, 관찰에 걸리는 시간, 관찰시점, 기록 유형, 표적행동 등을 고려해야 함

행동관찰에서는 이야기 기록(narrative recording), 간격기록(interval recording), 사상기록(event recording), 평가기록(ratings recording) 등의 방법이 있음

 

3. 인지적 행동평가

인지적 행동평가는 외현적 행동에만 초점을 맞췄던 초기의 행동평가와는 큰 차이가 있다.

  • 내담자의 인지과정은 치료효과가 있을 때 변할 뿐 아니라, 문제행동을 지속 또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함

인지를 변화시키기만 해도 행동이 변화된다는 주장이 있으나 인지적 행동평가에 제한점이 있다.

  • 내담자들은 인지과정의 결과는 쉽게 회상하고 기술하는데 반해, 그 과정을 기술하는 것을 어려워 함
  • 내담자가 회상한 내용은 개인의 욕구, 편견, 기대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
  • 실제의 인지과정은 내담자가 기술한 결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임상가가 추론
  • 이러한 한계 때문에 전통적 행동주의자들 중 일부는 인지적 평가의 이론적, 실제적 적절성에 의문을 품기도 함

 

인지적 행동평가

우울증에 활용

  • 독특하고 반복적 사고로 인해 유지되는 것으로, 관련된 사고는 확실한 증거가 없는 임의적 추론, 과일반화, 과장/최소화 등을 들 수 있음
  • Beck은 우울증의 인지과정을 평가하기 위해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를 개발
  • 인지적 자기보고 검사도 임상장면에서 자주 사용
  • Attributional Styles Questionnarie : 인과적 귀인방식이 우울증과 관련된다는 가정하에 내담자의 귀인을 평가
  •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rie : 신뢰도가 높고 다른 병적인 상태의 심각도를 변별할 수 있으며, 내담자의 감정상태의 변화에 민감하고, 변별타당도가 높음
  • Cognitive Response Test : 직업, 결혼, 우정을 알아보는 검사

사회적 공포증 환자

  • 부정적 정보를 자주 회상하고 타인으로부터의 모호한 피드백을 부정적으로 해석, 남들이 자신의 수행을 평가절하하고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부정적 자기-진술을 갖고 있는 경향
  • 따라서 이 요인 중 각각의 상대적 발생률을 평가함으로써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 치료책을 제시해 줄 수 이음
  • 사회적 공포증의 인지적 평가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도구
  •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 Social Interaction Self-statement Test

불안을 위한 검사

  • Irrational Beliefs Test :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100문항이 10개의 범주로 구성
  • Rational Behavior Inventory : 비합리적 신념과 불안간의 관계를 평가

섭식장애

  • Cognitive Error Questionnarie : 섭식장애의 독특한 인지왜곡을 평가
  • 자연사태에서 내담자의 자기-진술을 모니터 하는 것 : 구체적 문제에 적합한 인지-행동적 도구를 만들고, 거기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내담자에 대한 처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함

 

인지기록

생각하면서 중얼거리기

  • 내담자에게 현재 생각하고 있는 내용은 5~10분간 걸쳐 언어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 이 과정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진 내담자가 평상시와는 다른 생각을 말할 수 있다는 단점

혼잣말하기

  • 아동이 여러 활동을 하면서 무심코 하는 말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인지를 평가하는데, 이러한 사적 언어는 실제의 생각과 매우 유사함

명료하게 표현된 사고

  • 내담자가 나타내는 문제를 유발할 만한 구조화된 상황 또는 모의상황을 조성하여, 그 상황에서 내담자에게 떠오르는 생각을 말하도록 하여 전형적인 사고를 적어두고, 그것이 문제행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추론

결과방법

  • 실제의 자연스러운 상황이 발생했을 때 떠오르는 사고를 기록

시인방법

  • 표준화된 문항이나 비형식적 문항을 통해 내담자에게 나타나는 신념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알아보는 방법

사고 기술하기

  • 진행 중인 생각을 계속 기술하는 대신에 내담자로 하여금 인지를 요약. 구체적 자극이나 문제 영역에 따라 또는 어떤 자극을 얘기하게 함으로써 유발되는 생각을 열거토록 함

사고표집

  • 어떤 자극을 통해 내담자의 사고를 알아보는 기법으로 자극을 받기 직전에 떠올랐던 내용을 기술하도록 함

사상기록

  • 문제와 관련된 사고나 행동이 일어날 때까지 기다리는 대신 내담자로 하여금 새롭고 바람직한 행동의 표현과 관련된 사고를 기술하도록 하는 것

 

4. 심리생리적 평가

한 사람을 완전히 이하해기 위해서는 행동, 감정, 인지뿐만 아니라 이 요인들이 생리적 기능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야 함으로 심리생리적 평가를 실시한다.

공포와 불안은 혈압 및 피부전도성에서 나타내는 생리적 반응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

지능지수가 높은 사람은 과제를 할 때 눈동자의 확대변화나 심장박동률의 변화가 더 작음

  • 지능이 높은 사람이 과제를 할 때 노력을 더 적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심리생리적 측정을 통해 지능을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

정신분열증 환자와 불안증 환자는 부교감신경계보다는 교감신경계의 민감도가 더 높음

  • 반사회적 성격자는 부교감신경계의 민감도가 교감신경계의 반응성보다 더 높음

심리생리적 자료를 이해하고 해석하려면, 임상가들은 심리평가 뿐 아니라 해부학, 전자공학, 생리학 등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함

 

반응형
반응형

행동평가는 투사검사, 신경심리 평가, 객관적 평가와 같이 전통적 평가법에 속하기는 하지만 문제행동이 어떻게 시작되고 변화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입장이 독특하고 평가절차가 매우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다른 평가법과 구분된다.

행동평가의 기본 가정은 문제행동이 일어나기 이 전의 사상(事象)과 사후의 결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그 행동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행동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행동의 상황적 결정요인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1. 행동평가법의 역사와 발달

행동평가는 산업 및 조직장면에서 일찍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임상장면에서는 큰 인기가 없었음

초기에는 전통적인 정신역동 접근과 대비해서 이루어졌음

  • 목표 : 문제행동의 확인 - 문제행동의 분류
  • 가정 : 일시적 상황이 행동을 야기함 - 지속적 특질이 행동을 야기함
  • 적용 : 직접적 관찰 - 간접적 추론

1970년대에 들어서는 학교, 직업, 가족, 그리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틀과 같은 보다 큰 맥락으로까지 확대됨

  • 광범위한 환경이 개인에게 끼치는 큰 영향력에 대한 인식과 개인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려면 환경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관찰에서 비롯된 것

행동평가는 인간의 객관적 행동뿐만 아니라 느낌, 감각, 상상, 인지, 대인관계, 심리생리적 기능과 같은 다양한 측면으로 확대됨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행동평가의 기본가정과 다른 분야와의 통합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

  • 구체적 행동자료, 문제목록, 치료계획 및 추수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정신치료 장면에서 진단 및 치료가 개선됨
  • 두통, 관상동맥, 심장병, 천식, 만성통증, 수면장애, 섭식장애 등의 분야로 행동평가법이 확대됨

 

2. 행동평가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행동평가 초기에는 특정한 행동을 직접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나 확보에 어려움

또한 관찰방법에 따라 신뢰도 수준에 차이가 있음

  • 관찰자의 편견이나 타인의 간섭, 행동에 대한 불분명한 정의로 신뢰도가 낮아짐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두 관찰자가 결과를 비교하고, 내담자의 행동을 언제 관찰할 것인지에 대한 지시를 신중하게 하고, 표적행동을 명확히 기술하며, 자기보고의 표현을 명확히 기술하며, 도구의 구성을 검토하고, 관찰자를 철저히 훈련시키는 것

1960년대와 70년대 동안 여러 평가과정의 타당도는 주로 비공식적인 내용타당도에 의존

  • 질문지와 관찰방법은 주로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논리적 추론에 기초한 반면, 경험에 근거한 범주를 개발하려는 노력은 드물었음

1980년대 이후로 행동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됨

 

반응형
반응형

1. 문장 이해력 검사의 배경과 목적

우리나라 장애아동의 언어력 측정을 위한 언어검사도구로, 1994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개발한 도구이다.

검사의 목적은 4~ 611개월의 아동에 대한 문장이해능력의 수준을 측정한다.

대상은 비장애 아동은 물론, 지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자폐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뇌병변 등의 문제로 인해 언어에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이다.

 

2. 검사 구성 및 실시

TOLD-2primary(Test of Language Development - 2primary)중에서 grammatic understanding, 기초학습 기능검사 중에서 읽기, 우리함께 해봐요,, 초등학교 교과서, 그 동안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언어진단 및 언어치료, 교육을 하면서 얻은 정보를 기초로 4~ 611개월 아동에게 적절한 36개 선정한다.

예비조사를 통해 부적절한 문항을 제외하고 총 27개 문항으로 구성한다.

  • 철수는 오랫동안 친구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아빠가 만들고 있던 강아지 집이 다 만들어졌다, ....... 철수는 아빠한테 책을 가져다 드린다, 영이는 아저씨들 사이에 서있다, 자장면이 배달되어 있다.. 등

아동의 연령에 상관없이 1번 문항부터 시작하고, 첫 문항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5문항을 실패하면 검사를 중단한다.

그림을 보여주고, 맞는 그림을 찾도록 한다.

- 문장을 그대로 읽는 것 이외 다른 언어적 지시나 자극을 주어서는 안된다.

 

3. 검사의 채점 및 해석

정답일 경우 검사지에 “+”, 실패면 “-”, 무반응이면 “NR"로 기입하고, 채점시 ”+“의 개수로 원점수를 구한다.

원점수로 백분위 산출표에서 백분위 점수, 등가연령 표에서 등가연령을 구한다.

백분위 산출표에서 백분위 점수를 구하면, 아동의 문장이해력을 또래 집단과 비교하여 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언어는 인간의 의사를 전달하는 기본수단으로,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로 구분한다.

언어의 수용과 표현은 기본적으로 어휘력과 관계

뇌병변 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 구어로 의사소통을 못하며 수화나 대체의사소통 방법으로 의사를 교환

  • 언어의 수용은 이미 이루어졌고, 언어이 이해가 내어로 형성
  • 내어 : 단순히 소리 없는 음성 언어가 아니라 완전한 의미를 가진 확장된 사고이며, 어휘와 사고를 연결하며 언어를 표현하는 사고의 부분
  • 장애아동의 경험에 의한 내어 형성은 사고와 관련되며, 언어의 습득에 직결
  • 따라서 언어 능력은 학교 교육에 있어 학업성취와 직결

언어발달과 언어능력의 검사는 장애아동의 학습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

 

1. 그림어휘력 검사(Peabody Picture Vocaburary Test : PPVT)

 

1) 검사 특성

PPVT는 개인의 언어수용 능력을 예측하는 도구로, 개인의 언어-인지 능력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

  • 지적능력의 측정과 깊은 관련(WAIS 하위검사와 상관관계는 .64)
  • 1959년 Dunn에 의해 개발된 PPVT가 PPVT-R로 재판되었고, 1979년 표준화된 PPVT-R은 총 350문항으로 이루어짐
  • 2세 6개월에서부터 40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
  • L형과 M형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비언어적인 대상자에게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검사시간은 약 15~20분 정도가 소요됨
  • 우리나라에서는 PPVT를 아동용, 성인용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아동용은 1995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표준화하여 2세부터 8세 11개월 아동의 수용어휘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
  • PPVT-R의 신뢰도는 .71에서 .91로 매우 높은 편이었고, 한국판 PPVT 역시 Cronbach's α 계수가 각 연령별로 .85로 매우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2) 검사구성

아동용은 178개의 어휘가 초기에 선정되었다가 3차례에 걸친 문항선정과정을 통해 부적절한 문항을 제외시킨 결과 최종적으로 112문항이 선정

품사별로는 명사(57%), 동사(20%), 형용사(12%), 부사(1%)

범주별로 동물, 건물, 음식, 가구, 가정용품, 신체부위, 직업, 도형, 식물, 학교 미 사무실 비품, 기구 및 장치, 악기, 교통기관

 

3) 검사실시

6세 이하인 경우, 예제 문제를 3문항(A,B,C)을 실시하고, 6세 이상인 경우에는 예제문제 2문항(D,E)를 실시

  • 연령별 시작문항 번호를 참고하여 첫 문항을 실시하되, 연속해서 8문항을 바르게 반응하지 못하면, 8개 문항을 연속해서 바르게 맞출 때 까지 낮은 번호의 문항으로 내려감 → 기초선 확립
  • 기초선이 확립되면, 그보다 낮은 문항은 맞은 것으로 간주
  • 지능이 낮아 기초선 확립이 되지 못하면 1번 문항을 기초선으로 함
  • 검사를 계속하다 연속해서 8개 문항 중 6개를 틀리면 검사를 중단 → 마지막 문항이 최고한계선

 

4) 검사채점 및 해석

원점수를 계산(1문항 당 1점씩)하는데, 최고한계선에서 틀린 문항수를 빼면 됨

  • 원점수를 백분위 산출표를 이용하여 백분위 점수로 환산, 등가연령 산출
  • 연령에 따라 백분위 산출표가 다르므로 연령범위에 맞는 산출표를 활용
  • 4세 3개월 된 아동의 백분위 점수가 9%였다면, 또래 아동 100명 중에서 어휘력은 하위 9번째에 위치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어휘력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음
  • 등가연령은 어휘력 수준이 어떤 발달연령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는 것으로, 위의 아동이 원점수가 23점 이었다면, 어휘력 발달 수준, 즉 등가연령은 3세~3세 5개월 정도임을 알 수 있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