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장 이해력 검사의 배경과 목적
○ 우리나라 장애아동의 언어력 측정을 위한 언어검사도구로, 1994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개발한 도구이다.
○ 검사의 목적은 4세~ 6세 11개월의 아동에 대한 문장이해능력의 수준을 측정한다.
○ 대상은 비장애 아동은 물론, 지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자폐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뇌병변 등의 문제로 인해 언어에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이다.
2. 검사 구성 및 실시
○ TOLD-2primary(Test of Language Development - 2primary)중에서 grammatic understanding, 기초학습 기능검사 중에서 읽기Ⅱ, 우리함께 해봐요Ⅰ,Ⅱ, 초등학교 교과서, 그 동안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언어진단 및 언어치료, 교육을 하면서 얻은 정보를 기초로 4세~ 6세 11개월 아동에게 적절한 36개 선정한다.
○ 예비조사를 통해 부적절한 문항을 제외하고 총 27개 문항으로 구성한다.
- 철수는 오랫동안 친구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아빠가 만들고 있던 강아지 집이 다 만들어졌다, ....... 철수는 아빠한테 책을 가져다 드린다, 영이는 아저씨들 사이에 서있다, 자장면이 배달되어 있다.. 등
○ 아동의 연령에 상관없이 1번 문항부터 시작하고, 첫 문항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5문항을 실패하면 검사를 중단한다.
○ 그림을 보여주고, 맞는 그림을 찾도록 한다.
- 문장을 그대로 읽는 것 이외 다른 언어적 지시나 자극을 주어서는 안된다.
3. 검사의 채점 및 해석
○ 정답일 경우 검사지에 “+”, 실패면 “-”, 무반응이면 “NR"로 기입하고, 채점시 ”+“의 개수로 원점수를 구한다.
○ 원점수로 백분위 산출표에서 백분위 점수, 등가연령 표에서 등가연령을 구한다.
○ 백분위 산출표에서 백분위 점수를 구하면, 아동의 문장이해력을 또래 집단과 비교하여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