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평가를 위해 광범위한 자기보고 검사가 개발되어 왔다.
- 대개 리커트식 척도로 된 20~100문항으로 구성
- 대부분은 주장성, 우울, 불안, 두려움, 역기능적 태도, 시각적 상상의 통제, 갈등 해결의 능력 또는 비합리적 사고와 같은 구체적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
○ 검사들 중 많은 것은 심리측정적 속성이 부족하거나 전무한 것도 있다.
○ 또한 규준자료가 거의 없는 것도 있다.
○ 그러나 많은 행동검사와는 대조적으로 우울, 주장성, 두려움에 대한 다음의 검사는 임상과 연구상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심리측정적 속성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1. 검사특성
○ 자기보고 검사의 대표적인 예가 Beck의 우울척도(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 1961년 Beck 등이 만든 것으로 1971년 개정되었다.
- 개정판에서 문항이 한층 명료화되고 수정되었으나 상관관계는 .94로 높음
○ 정신병 환자 집단과 정상인 집단에서 우울과 관련된 인지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음
○ 실시시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화된 면담만큼이나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
○ 문항은 원래 우울증 환장의 전형적 태도와 증후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하였지만, 그 중 대부분은 우울증에 대한 Beck의 인지적 견해를 반영
○ 혼자도 실시할 수 있으며, 전부 답하는데는 5~10분
○ BDI 문항을 적절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5~6학년 정도의 독해력이 필요
2. 문항 구성 및 내용
○ BDI는 카드형태, 컴퓨터화된 형태, 21문항인 표준형, 13문항의 단축형 등 여러 형태로 개발
- 표준형과 단축형의 상관관계는 .89~.97
○ 대표적 문항은 실패감, 죄책감, 비합리성, 수면장애, 식욕상실에 관한 것
<BDI의 21문항>
1. 슬픔 | 2. 염세성 | 3. 실패감 |
4. 불만족 | 5. 죄책감 | 6. 벌의 예기 |
7. 자기혐오 | 8. 자기비난 | 9. 자살에 대한 상념 |
10. 울었던 일 | 11. 신경과민(안절부절) | 12. 사회적 위축 |
13. 우유부단 | 14. 신체 이미지의 변화 | 15. 작업의 지연 |
16. 불면증 | 17. 피로감 | 18. 식욕 상실 |
19. 체중 감소 | 20. 신체적 몰두 | 21. 힘없음. 에너지수준 낮음 |
3. 신뢰도와 타당도
○ 표준형의 내적 일관성은 .86 (.73~.92)
○ 단축형의 신뢰도는 유사,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48~.86
○ 내용타당도, 일치타당도, 변별타당도의 평가도 양호
○ BDI 문항은 우울증환자의 증후에 대한 임상가들의 합의와 우울증 환자의 진단을 위한 DSM-Ⅲ의 9개 범주 중 6개로부터 도출
- 환자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한 결과, 일치타당도는 .55~.96으로 나타남
- 유사한 척도(Hamilton Psychiatric Rating Scale for Depression, Zung Self Reported Depression Scale, MMPI Depression Scale 등)와도 중간정도의 상관관계
○ BDI는 내담자의 적응수준을 변별할 뿐 아니라 정신병 환자와 비환자를 구분
○ BDI는 외로운 사람,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 불안한 사람, 고민이 많은 사람을 판별하는데도 사용
4. 검사결과의 해석
○ 전체 21개 증후를 포함, 0~3점 척도로 평가
- 이론상 가능한 점수는 0~63점
- 실제로 우울증이 아주 심한 경우라 해도 40~50점 사이의 점수
- 임상적으로 우울하거나, 적응을 잘하지는 못하지만 비임상적인 모집단의 경우 10~30점
<일반적 우울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5~9점 | 우울증이 전혀 없거나 매우 경미함 |
10~18점 | 가볍거나 보통 정도의 우울증 |
19~29점 | 보통 정도에서 심한 우울증 |
30~63점 | 우울증이 심함 |
4점 이하 |
우울증을 부인하거나 좋게 보이려고 꾸밀 가능성 있음. 정상인의 통상적 점수보다 더 낮은 점수 |
40점 이상 |
우울증이 아주 심한 사람보다도 훨씬 더 높은 점수. 우울증을 과장할 가능성이 있음. 연극적 또는 경계선적 성격장애를 나타낼 수 있음. 극심한 우울증을 반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