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능력 검사에서 학습 준비도 검사는 아래와 같이 말할 수 있다.
1. 검사의 목적
○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개발한 유치원 및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위한 지필식 집단검사로, 특별한 조치 없이는 2학년 학습을 원만히 배울만한 준비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는 소수의 아동을 조기 발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미국의 Pate & Webb이 제작한 초등학교 1학년생 선별검사(First Grade Screening Test : FGST) 1966년도 판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 조기 발견된 아동들에게 전문적인 개별검사나 교육적 대책을 강구하여 학교생활에서 생기기 쉬운 정서적 및 학습상의 상처를 미리 예방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 지적 장애나 정서적 장애 때문에 학업성취가 어려운 아동을 발견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 특징은 검사에서 얻은 총득점을 중심으로 한 해석이 강조되며, 검사의 한 페이지에 한 문항씩 구성한다.
2. 검사 구성
○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총 27개 문항으로 이루어진다.
○ 각 문항은 발달이론에 기초를 둘 뿐 아니라 임상경험으로부터 귀납적으로 도출된 내용이다.
○ 지식 요인 : 각 8개의 그림 중에서 지시하는 하나의 그림을 찾는 문항으로 동식물, 인간행동 등 친숙한 개념과 지식의 이해정도를 측정(10문항)
○ 신체개념발달 요인 :
검사 첫 경험에 대한 흥미와 동기 유발에 도움을 주며, 사람전체, 인물화를 그리게 함(1문항)
○ 정서적 성숙의 지각 요인 : 정서적 성숙에 대한 지각영역 측정으로, 얼굴표정에 대한 지각, 놀잇감을 식별할 줄 아는 능력을 측정(2문항)
○ 부모상지각 영역 : 부모가 평소 하는 일과 역할에 대한 지각능력을 측정(2문항)
○ 놀이지각 영역 : 아동자신의 놀이태도나 행동수준에 대한 지각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자아개념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상태를 측정(4문항)
○ 시각운동 협응 영역 : 가장 기초적인 학습준비기능의 하나인 지각-운동발달 정도를 측정(3문항)
○ 지시순종 영역 : 지시하는 말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측정(3문항)
○ 기억 영역 : 검사에서 제시되었던 그림을 어느정도 기억하고 있는지 평가(2문항)
3. 검사실시
○ 개별 검사지를 사용하는데, 주의산만과 문항 누락 방지를 위해 한 문항이 한 페이지로 되어 있음
○ 집단 검사시 적정인원은 25~30명이며, 보조자가 필요
○ 검사시간에 제한은 없지만 대체로 1학년은 40분, 유치원 아동은 50분 정도가 소요됨
- 검사도중 유치원 아동은 10분간의 휴식을 둠
○ 각 문항에 대한 지시는 지시사항에 따라서 이행하고 문항에 대한 질문은 받지 않음
- 아동에게 읽어주는 지시에는 밑줄이 있고, 밑줄이 한 개 있는 지시는 크게 한번, 두 줄이 있는 지시는 크게 두 번만 읽어줌
○ 각 문항마다 지시를 하기 전에 각 문항(페이지)을 바르게 펴고 있는지 확인한 후 지시할 것
4. 검사 채점 및 해석
○ 1번부터 7번까지는 채점표본을 잘 보고 엄격히 채점하고, 8번~27번까지는 선택형 문항으로 정답에 해당되는 항에 표시한다.
○ 이 검사는 지능 뿐 아니라 여러 측면의 심리적 기능을 측정하기 때문에, 아동의 의도된 반응을 잘 간파하여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 채점은 정답과 오답의 확인 방식보다는 학교생활의 곤란성에 대한 예방이라는 전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놀이에 대한 지각, 부모와 자신에 대한 지각상태를 알아보는 영역도 포함한다.
○ 총 27개 문항에서 얻을 수 있는 점수 범위는 0~29점
○ 검사의 목적이 전문적인 개별진단을 요하는 아동을 선별하는 검사이므로, 학교실정에 따라 절선득점(cutting score)을 정하여 1차 선별의 기준점
- 검사집단을 두 집단으로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원점수로, 절선득점 이하에 속하는 아동은 보다 전문적인 개별진단을 받아야할 대상으로 간주
○ 검사의 전체 평균득점은 17.59(SD=4.93)로 도시아동과 지방아동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
○ 예로써, 원점수 10점을 얻은 경우, 하위 10%에 해당. 평균을 100, 표준편차를 15로 하여 산출된 표준점수의 규준표에 의해, 원점수 19점을 받은 아동은 표준점수 102가 되어 평균수준이 됨
5. 검사 활용
○ 일반아동에 대한 활용
- 개개 아동의 학교생활을 예언할 수 있는 최초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개별진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아동 선별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음
- 학급내 소집단 편성이나 초기의 반편성 자료나 지침으로도 사용
○ 학습문제아동 발견
- 지능발달이 부진하거나 뇌기능이 온전치 못하거나 또는 정서장애로 인하여 학습장애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음
- 지적장애, 특수학급의 대상 아동을 판별하기 위한 1차 선별도구로 사용
○ 학습준비도 확인
- 1학년 모든 아동의 학습준비도를 알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개인지도를 받아야 할 아동의 준비도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
○ 활용시 유의사항
- 이 검사결과 만으로 아동의 배치, 선별 등을 결정하는 일은 삼가야 함
- 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해서 검사를 실시
위와 같이 학습 능력 검사에서 학습 준비도 검사에 관하여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