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P 검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집-나무-사람(House-Tree-Person) 검사는 피검자가 자신도 모르게 성격발달과 관련된 정서적 면들과 역동을 나타내준다.
○ 투사적 그림검사로 정상 아동과 정서장애 아동을 판별하는 기능도 있다.
○ 집, 나무, 사람은 나이가 어린 피검자에게도 친숙하고, 다른 아이템보다 받아들이기 쉬운 주제이며, 다른 것보다 솔직하고 자유롭게 그린 것에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연령에 관계없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 고유의 상징성을 살펴보면
- 집 : 집에서의 생활, 가족들과의 상호작용과 관련
- 나무 : 신체상과 자아개념을 나타냄. 기본적이고 오래 지속된 감정을 반영한 것으로, 재검사 결과에서도 거의 같은 양상을 보임
- 사람 : 성격의 중요개념으로, 피검자 자신의 모습에 대한 지각과 환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개체가 되며, 대인관계 방식, 타인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들이 나타남
○ 일반적으로 사람을 그릴 때 실물과 가깝게 그려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이 있기 때문에, 집, 나무를 먼저 그리도록 한다.
○ 피검자가 제한된 조건 내에서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종이에 마음껏 그릴 수 있도록 한다.
○ 해석시 집 그림에서는 지붕, 벽, 문, 창문, 연기, 조망, 기타 부속물 등을 고려하고 나무 그림에서는 줄기, 뿌리, 가지, 과일, 기타 사물을 그리는 것, 사람 그림에서는 활동하는 것, 머리카락, 정면 혹은 측면, 외모, 기타 사물을 갖고 있는 것 등을 고려하여 해석한다.
위와 같이 HTP 검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