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애아의 심리진단 및 평가는 다음과 같다.

  • 아동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계속해서 성장하는 발달도상에 있으므로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의학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사회학적 및 발달적 측면 등 다차원적 시각을 가지고 다루어야 함
  • 평가과정은 일차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면서 시작
  • 아동과 가족에 대한 배경정보, 아동에 대한 직접적 관찰, 아동과의 라포형성 후의 면접을 통해 얻을 수 있음

 

1. 배경정보

1) 개인정보

  • 이름, 성별, 생년월일, 출생지, 별명, 주소, 전화번호, 학교, 학년, 부모성명 등

 

2) 의뢰이유

  • 의뢰자가 문제라고 지각한 것을 드러내는 것
  • 주변 환경에 대한 한 측면만 문제상황으로 보이기 쉽기 때문에, 의뢰이유가 평가결과와 관련이 없다하더라도 보고서에 기재

 

3) 생육사

  • 임신부터 시작하여 폭넓은 영역을 포함해야 하고 평가과정의 필수적 부분
  • 임신 : 출생전, 출생시, 출생후 사건들을 조사하고, 발달과정 초기에 아동의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환경에 대하여 파악
  • 초기행동 : 섭식, 수면, 발달적 이정표(앉기, 서기, 기기, 말하기 등)
  • 병력 : 질병, 상해, 투약, 입원 등
  • 교육경력 : 학교성적, 좋고 싫어하는 과목 외에도 거짓말, 속이기, 상호작용, 공격성 등 행동
  • 가정환경 : 부모, 형제(가정환경은 아동문제와 밀접한 관계)

 

2. 관찰

  • 아동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문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음
  • 행동할 때, 놀 때, 타인과 상호작용 할 때, 홀로 있을 때 등

 

1) 직접적 관찰

  • 면접이나 실제 검사시 발생
  • 외모, 특수한 특징, 걸음걸이, 자세, 버릇, 목소리, 단어사용 등

 

2) 간접적 관찰

  • 면접과 검사실시 이외에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 교사, 타전문가, 부모, 행정가 등에 의한 간접적인 관찰이 이루어짐

 

3. 면접

  • 수집한 정보와 관찰을 포함시키는 과정
  •  말이 없거나 비협조적인 아동에게는 구조화된 면접이 효과적임

 

1) 관계형성

  • 면접환경에서 아동이 불안해하거나 두려워할 수 있음
  • 전문가는 상냥하고, 격려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함
  • 적절한 눈맞춤, 안면표정이 필요

 

2) 환경에 대한 아동의 지각

  • 라포형성 후, 가정환경, 교육환경, 친구들과의 관게 및 자기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등을 알아볼 것
  • 가정환경 : 아동에 대한 가정환경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부모, 형제, 대중매체의 영향, 개인적 습관 등을 알아보아야 함
  • 외부환경 : 또래집단의 특성, 그 집단과 아동과의 상호작용, 또래집단의 활동경향 등을 파악
  • 학교환경 : 대부분의 아동은 학교환경이 가치감과 성취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지만, 어떤 아동에게는 실패감과 열등감을 주는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음
  • 자기지각 : 심리검사를 통해 측정될 수도 있지만, 면접동안 질문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음(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고, 문제상황을 어떻게 다루고, 현실적인 포부와 관련해 목표를 성취하려는 의지 등)

 

반응형

+ Recent posts